Networks/Command & Tool

[Command & Tool] Ping 사용법 정리

바둑이 아저씨 2025. 11. 4. 23:55

ICMP 프로토콜 ( 출처 : https://www.pynetlabs.com )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서버, 장비 등)가 정상적으로 응답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진단 도구입니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이용해 대상에게 패킷을 전송하고, 응답 시간(RTT)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Ping 명령어 사용법

Windows, Linux 등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며, 기본 구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ping [옵션] [대상 IP 또는 도메인]

예시 :

ping 8.8.8.8

Google DNS(8.8.8.8)에 대한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2. 주요 옵션 설명 (Windows 기준)

옵션 설명 예시
-n [횟수] Ping을 보낼 횟수 지정 ping -n 5 8.8.8.8
-t 무한 반복(Ping 중단 시 Ctrl+C) ping -t google.com
-l [크기] 패킷 크기(Byte) 지정 ping -l 1000 8.8.8.8
-S [소스 IP]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Ping 전송 ping -S 192.168.0.10 8.8.8.8
-w [시간] 응답 대기 시간(ms) 지정 ping -w 1000 8.8.8.8
-4 / -6 IPv4 또는 IPv6 강제 사용 ping -4 naver.com

3. Linux / macOS에서의 Ping 사용 예시

Linux에서는 기본적으로 무한 반복이므로, -c 옵션으로 횟수를 지정해야 합니다.

# 5회만 Ping 수행
ping -c 5 8.8.8.8

# 패킷 크기 1000바이트 지정
ping -s 1000 8.8.8.8

# IPv6 대상 확인
ping6 google.com

4. Ping 결과 해석

  • Reply from … : 대상 호스트로부터 응답이 도착한 상태 (정상)
  • Request timed out : 대상이 응답하지 않거나 네트워크 단절 상태
  •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 경로에 문제가 있는 경우
  • TTL(Time To Live) : 패킷이 경유할 수 있는 최대 홉 수를 의미

5. 네트워크 점검 시 활용 팁

  • 게이트웨이 → 외부망 순으로 Ping 테스트를 수행하여 단절 구간을 추적합니다.
  • 패킷 손실률과 평균 응답 시간을 함께 확인하면 품질 분석에 유용합니다.
  • 지속적인 모니터링 시 -t 또는 스크립트를 활용해 자동화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네트워크 진단의 기본 도구인 Ping 명령어와 주요 옵션을 정리했습니다.

정상 응답과 지연 시간을 통해 간단히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트러블슈팅의 첫 단계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네트워크 진단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